[신종 사기 제보! 주의] sublease 관련 > 사고팔기

본문 바로가기
KSAG UNIVERSITY OF MICHICAN LOGO
로그인 회원가입 ENGLISH

사고팔기

[신종 사기 제보! 주의] sublease 관련

페이지 정보

작성자 웹마스터 (68.♡.56.217) 댓글 2건 조회 50,078회 작성일 2015-01-29 02:06

본문

KSAG 동문 중 한분께서 sublet /sublease 관련해서 직접 겪으신 사기 수법에 대한 제보를 해 오셨습니다. 본 KSAG 웹 사이트를 통해 컨택해 왔다고 하니 사이트를 이용하시는 모든 교우 및 교민들께서 아래 내용을 읽어보시고 동일한 수법에 유념하시길 바라는 마음에 게시글을 작성합니다.

== 제보 내용 ==============================
1. 처음에 자신은 Korean American이고, Korean은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영어로 카톡으로 얘기하자고 합니다. 카톡 사진은 무슨 여자 아이돌 연예인같은 사진이 올라와 있습니다. 저한테 사용한 이름은 Sara Lee입니다.
2. 장문의 자기 소개를 하는 이메일을 보냅니다. 굉장히 자세한 내용이며, 좋아하는 음식, 취미 기타 등등 자세한 내용이 적혀져 있습니다.
3. 자신이 현재 외국(저의 경우 유럽)에 있기 때문에, 미국 체크를 현금화하지 못하는 상황이며, 때문에 전에 일하던 회사에서 수표를 제 이름(즉, 서블릿 구하는 사람의 이름)으로 발행해줄테니, down payment를 제외한 차액을 보내달라고 합니다. 자신이 비행기 표 값이 없으며, 따라서 제가 빨리 돈을 보내줄수록 자신이 빨리 앤아버에 와서 계약을 할 수 있다고 합니다. 차액은 보통 $3,000 미만의 굉장히 큰 액수는 아닙니다.
4. 회사 이름의 체크를 FEDEX나 UPS로 보냅니다. 저한테 온 체크는 로펌에서 발행된 것이고, 거래 은행, 서명 모두 정상적으로 보입니다. 심지어 회사 이름, 은행 모두 실제 존재하기 때문에 구글에서 웹사이트를 찾을 수도 있습니다.
5. 차액을 요구하는데, 돈을 Western Union이나 Money gram으로 보내달라고 합니다. 저도 이번에 처음 알았는데, 이런 transfer 방법은 현금을 가져가야만 송금 가능하며, 송금자 정보도 보내야 하기 때문에 굉장히 위험합니다. Ann Arbor에는 Money gram을 보내는 장소가  Rave motion pictures 넘어서 한 군데 있기 때문에 차를 가지신 분들은 별일 아니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습니다. 만약 이 두방법 모두를 거절하면, 머니오더를 요구합니다.
6. 사실 이들이 보내온 체크는 도용된 체크입니다. 제가 수표를 발행한 로펌과 통화했을 때, 로펌에서는 이들이 사용한 계좌가 회사의 공식 은행 계좌라고 했습니다. 당연히 현금화되지 않습니다.
7. 은행에 체크를 넣으시면, 실제로 현금화되기까지 시간이 소요됩니다. 하지만 예를 들어 $1000 체크를 은행에 넣으시면, 입금 즉시 Balance에는 $1000가 표시되게 됩니다. 세부 거래 내용을 보셔야만 pending이라고 보실 수 있기 때문에, 사기꾼들은 자꾸 balance를 확인해보라고 하고, 이미 입급되었으니 돈을 보내달라고 합니다.

꼭 이말을 전해주세요. 이번달에만 앤아버에서 2명한테 사기를 쳤고, 저를 포함하여 두 명 모두 실제로 체크를 현금화하는 단계까지 왔습니다. 확실히 KSAG 공고를 통해서 저를 접근한 것이 맞구요, 상황히 절실하면 정말 믿기 쉽습니다.
=======================================

2차 3차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바쁘시간 내어 제보해 주신 교우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기타 다른 형태의 사기 수법에 대하여 알고계시는 분이 계시면 언제든지 제보 부탁드리겠습니다.

KSAG 드림.

댓글목록

재이님의 댓글

재이 아이피 (73.♡.196.208) 작성일

조심하세요!!
이 사람 요새도 활동 합니다. 저도 최근 당할 뻔 했는데 1~3번까지 진행상황이 거의 똑같아요.  전 4번에서 멈췄습니다. 집 계약금으로 나에게 전 직장에서 발행하는 수표를 보내주겠다고 했어요. 계약금 필요없으니 수표보내지 않아도 되고 그냥 홀드해 주겠다고 하니까 그다음 부터는 연락 두절 됐습니다.
앤아버가 대학근처다 보니 학생들이 주기적으로 물갈이가 되니까 같은 수법을 계속 쓰는거 같아요

Hogu님의 댓글

Hogu 아이피 (198.♡.47.94) 작성일

본인의 경우 최근 서브렛을 구할 때 작업을 건 경우입니다 (다행히 당하지는 않았지만).  아주 기본적이고 원칙적인 것만 지키면 서브렛을 구할 때 피해를 받지 않습니다.
1. 반드시, "무었보다도 먼저" 서브렛 주소지를 방문하고 내부를 먼저 보아야 합니다.  사기일 경우에는 실제 살고있지 않으므로 집 내부를 보여줄 수가 없습니다 - 열쇠가 없으므로.  대부분 여기에서 사기꾼이면 떨어져 나갈 것입니다.
2. #1을 통과하고 난 뒤, 돈거래 및 서류작성은 반드시 그 주소지를 관리하는 회사의 사무실 (아파트의 경우에는 아파트사무실)에서, 서브렛 놓는 사람 및 사무실 직원이 있는 상태에서 해야합니다. 
3. #1 & #2 단계에서 온라인 및 우편거래는 99% 사기일 확률이 높습니다.

회원로그인

facebook
후원업체

Copyright @ Korean Student Association Graduate / ksag.web@umich.edu 모바일 버전